사라지는 대한민국 : 스스로 생을 포기하는 청년들
여러분, 요즘 뉴스보면 밝은 이야기가 없죠..?
씁쓸하지만 한국의 현실입니다. 그 중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은 뭐라하더라도 폭락한 출산율입니다.
그런데 그것보다 더 심각한 것은 자살율입니다. 오늘은 이 안타까운 상황을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늘어나는 자살율
2024.4월 정부에서 작년 대비 1월 사망자가 319명(32%)가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전세계적으로도 자살율이 제일 높지는 않지만 OECD국가 기준으로 보면 압도적인 1등입니다.
매년 13,000명이 죽고 이는 매일 35명, 매 시간 1.5명이라는 엄청난 수치입니다.
자살율이 높은 다른 나라를 보면 베네수엘라, 아프리카, 러시아 등 이유가 있어요..(내전, 전쟁)
그런데 우리나라는 그런 것도 아닌데 이렇게 높은 것을 보면 사회적으로 병이 단단히 들어버린것 같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1990년 초만 하더라도 자살율이 높은 나라는 아니였습니다. 그런데 1990년 중반 부터
2000년대를 들어서면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나라가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자살율은 3배 상승했고 출산율은 절반이 감소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더 심각한 것은 10대에서 30대의 자살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죠.
실제로 2007년 이후 청년의 사망원인 1위는 항상 자살입니다.
원인이 뭐야?
1. 결과 지향적인 사회
많은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첫번째 이유로는 우리나라가 개인의 성공에 너무 많은 초점이 맞추어진 사회가 원인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그 개인의 성공의 지표가 오로지 돈이라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우리나라가 중시해오던 전통적인 유대감, 사람간의 정 이런 것들은 약해지고 서로를 이겨야만 하는 상극적인 사회가 되어버렸다는 겁니다.
1. 한국이라는 나라는 오징어 게임처럼 456억의 상금이라면 죽음도 불사한다.
2. 한국사람들은 본인의 나라를 '헬조선'으로 부르고 그처럼 이 나라는 죽음이나 이주를 통해서만 탈출이 가능하다.
3. 미국에서는 문화 아이콘들이 자살을 하면 자기성찰을 한다. 그러나 한국은 그렇지 않다.
이 세가지는 한국에 대한 해외의 평가들인데 이걸보면 밖에서 봤을때도 한국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2. 터무니 없는 자살 예방 정책과 예산
실제 우리나라 자살 피해자의 90%가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한 정신 상태에서 자살을 해버린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이러한 피해자들에 대한 정책도 부실하고 예산조차 투자하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에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자살 예방 예산은 451억 일본 67,033억 대비 0.7% 정도 밖에 되지 않은 것으로 나왔습니다.
오로지 성장에만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고, 병들어 있는 사회 대비 그 안전망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인 것이죠.
3. 주변인의 무관심
자살사망자 중 거의 대부분(94%)이 사망 전 경고신호를 내보인다고 합니다. 그런데 주변인들은 그 신호를 인식을 못하는 경우도 있고 알더라도 별 거 아니겠지? 라고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사건이 발생하면 내 아이가, 내 동생이, 내 친구가 그럴줄은 몰랐다 라며 후회하죠.
어떻게 막을꺼야??
사실 이러한 심각한 문제점을 정부에서 인식을 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자살율을 줄이겠다는 나름의 계획은 발표했습니다.
정신건강 검사 대상자를 확대한다느니, 위험군 관리를 한다느니, 나름 계획은 있지만 사실상 너무 추상적이고 무엇보다
예산이 너무 적습니다!
발전하는데 돈을 쓰는 것은 좋습니다만, 출산율도 감소한 마당에 이미 태어난 사람들을 소중히 생각하고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돈을 좀 더 투자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