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도감
사람과 사랑에 빠진 돌고래 이야기
해금도감
2023. 2. 18. 13:59
반응형
외계인과의 대화를 위하여..
1960년대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는 것을 기점으로 과학자들은 외계 생명체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나사의 연구진들은 외계인과 만난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포커스를 맞췄는데요.
외계인과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과학자들은 인간이 아닌 동물에게서 그 해답을 찾고자 했습니다.
침팬지나 원숭이 같은 유인원 류가 제일 먼저 물망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결정이 난 동물은 다름 아닌 돌고래였습니다.
그 이유는 돌고래가 인간보다 40% 더 큰 두뇌를 가지고 있으며 대뇌 피질 또한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1963년 카리브해의 세인트 토머스 섬 해안가에 새하얀 연구소 한 채가 지어집니다. 이름은 돌핀 하우스 연구의 목적은 돌고래와의 소통이었습니다.
돌고래와의 소통을 외계인과의 대화를 위한 첫걸음이라 생각했던 것이죠.
마거릿과 돌고래 피터와의 첫 만남
실험에는 마거릿이라는 여성과 수컷 돌고래 피터가 참여했습니다.
마거릿은 단순 실험이라 생각하지 않고 진심으로 피터와 교감하고 피터도 그에 보답하듯 눈부신 성장 속도를 보였습니다.
그 결과는 참으로 놀라웠습니다.
10주만에 어느정도 비슷하게 단어를 흉내내는 것이었습니다.
마거릿은 피터가 이렇게 말을 할 수 있는 것은 강압적인 실험의 결과가 아닌 깊은 교감과 유대로 인한 결과 생각하고 아예 집을 연구소로 옮겼습니다.
돌고래 피터의 애정표현과 이별
그렇게 돌핀 하우스 이 층은 인간과 돌고래가 함께 지내는 공동 생활 공간으로 개조되었습니다.
책상과 의자를 두고 거기서 작업을 했으며 침대는 아예 수조에 던져놓고 피터와 함께 잠을 청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예기치 못한 문제가 하나 발생합니다.
피터가 마거리에게 성적인 시그널을 보내오기 시작한 건데요.
피터는 마거릿의 몸에 자신의 몸을 문지르며 애정을 표현했습니다.
마거릿은 다른 암컷 돌고래와 피터를 합사시켜 피터의 이성적 호기심을 다른 곳으로 돌려보려고 했지만 피터의 관심사는 오로지 마거릿 한 사람 뿐이었습니다.
결국 그녀는 손으로 수컷 돌골의 성욕을 해소시켜주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마거릿은 연구적인 관점에서 행한 일이었지만 세간의 시선은 그렇지 못했습니다.
그 당시 미국의 성인 잡지 회사인 허슬러에서는 이 일을 두고 인간과 돌고래 파격적인 성관계라며 굉장히 선정적으로 보도했죠.
더군다나 연구 담당자인 릴리가 향정신성 약물인 엘에스디를 돌고래에게 투약한 것이 드러나 돌피하우스는 하루아침에 비해 위기에 놓이게 됩니다.
결국 1966년 실험은 완전히 종료되었습니다.
그 당시 미국의 성인 잡지 회사인 허슬러에서는 이 일을 두고 인간과 돌고래 파격적인 성관계라며 굉장히 선정적으로 보도했죠.
더군다나 연구 담당자인 릴리가 향정신성 약물인 엘에스디를 돌고래에게 투약한 것이 드러나 돌피하우스는 하루아침에 비해 위기에 놓이게 됩니다.
결국 1966년 실험은 완전히 종료되었습니다.
연구소의 직원들이 뿔뿔이 흩어지자 마거릿 혼자 남아 피터 옆을 지켰는데요.
그녀의 개인 소유가 아니다. 보니 피터와 마거리도 결국 떨어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피터는 그의 10월 미국 마이애미에 위치한 비좁은 수조로 옮겨집니다.
피터의 죽음
햇빛도 들어오지 않는 수조로 들어간 피터는 얼마 뒤 운명을 달리했습니다.
그러나 피터의 죽음에는 석연치 않은 점이 하나 있었습니다. 돌고래는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와 산소를 공급해야 합니다.
그런데 어째서인지 비터는 호흡을 하기 위해 수면 위로 올라오지 않았다고 하죠.
산소가 부족해 숨통이 조여오는 와중에도 콘크리트 수주 아래서 가만히 자신의 죽음을 기다렸다고 합니다.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은 사회적인 동물인 인간에게만 해당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 피터의 자살은 동물학계를 넘어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그런데 어째서인지 비터는 호흡을 하기 위해 수면 위로 올라오지 않았다고 하죠.
산소가 부족해 숨통이 조여오는 와중에도 콘크리트 수주 아래서 가만히 자신의 죽음을 기다렸다고 합니다.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은 사회적인 동물인 인간에게만 해당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 피터의 자살은 동물학계를 넘어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피터의 죽음은 동물학계의 거센 비판과 안타까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좁은 수조로 옮겨진 것도 문제지만 매일 함께 교감하던 마거릿과 이별한 것이 피터에게는 견딜 수 없는 상심으로 다가온 것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