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둔클레오스테우스 테렐리

둔클레우스테우스는 물고기의 시대라고 불리우던 데본기의 바다에서 서식하던 막강한 물고기입니다. 

몸 길이는 평균 8m에 무게는 3톤에 달해, 현생 범고래와 비슷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과거의 메갈로돈이나 강력한 어종에 비교하면 보잘 것 없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당시 고생대 해양에서는 가장 큰 물고기였습니다. 

 

둔클레오스테우스의 특징

판피라고 불리는 강력한 머리 

 이들의 머리는 '판피'라는 두께 5cm의 단단한 골질로 되어 있는 머리가 있습니다. 이는 당시 최상위 포식자였던 그들에게는 적이 없다고 해도 될 정도였기에 보호용으로 쓰여진 것은 아닙니다. 

둔클레우스테우스의 탄피

 이 판피의 용도에 대해 와이오밍 대학교의 골격생물학자인 엘리슨 도허티(Alison Doherty) 박사는 이들의 판피는 낙타의 혹처럼 일종의 영양 저장 창고였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시 둔클레오스테우스의 서식지는 바닷물과 민물을 가리지 않았지만 문제는 민물은 바닷물보다 인과 칼슘의 농도가 4배~5배 정도 낮았습니다. 즉, 둔클레오스테우스가 민물까지 서식지를 넓히기 위해서는 체내에 충분한 양의 칼슘과 인이 있었어야 했습니다. 그런데 이 판피가 인과 칼슘의 저장 역할을 해주었습니다. 

 

강력한 턱

둔클레오스테우스는 턱을 가지고 있었는데 당시 어종들은 대부분이 턱이 없는 무악어류였습니다. 비록 원시적인 형태의 턱이었지만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고생물학자의 분석 결과 7,000 N 정도의 힘) 

이들의 턱에는 이빨은 없었지만, 뼈판이 뾰족하게 변형돼 위, 아래가 서로 맞물리며 이빨의 역할을 했고, 이를 통해 연골어류나 갑주어 등을 잡아먹고 살았습니다.

판피로 덮인 턱은 무거워서 움직임이 느릴 것 같지만, 둔클레오스테우스는 입을 한 번 열었다 닫는데 약 60ms가 걸린다고 합니다. 이는 사람이 눈을 깜빡이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입니다.(눈 깜빡이는 속도 : 120ms)

또 빠르게 입을 열 수 있었기 때문에 입 안쪽은 순식간에 진공 상태가 돼 압력 차이로 주변의 작은 물고기들을 입 속으로 빨아들여 잡아먹을 수도 있었습니다. 이런 강력한 턱은 먹이 사냥에 주로 쓰였지만 짝짓기나 서식지 경쟁을 위해 동족간 경쟁에도 쓰였습니다.

 

둔클레오스테우스의 멸종 

데본기 후기는 겉씨 식물의 조상인 아르카이옵테리스(Archaeopteris)등이 서식지를 넓혀가던 시기였는데, 이들의 뿌리로 인해 토양과 암석의 풍화 작용도 활발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 풍화 과정에서 대기로 노출된 칼슘과 마그네슘 같은 무기 염류들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반응해 탄산염으로 바뀌었고, 결국 이는 온실효과의 감소와 빙하기로 이어졌다는 것입니다. 또한 식물에 의해 다량의 무기 염류들이 강과 바다로 흘러들어갔고, 이는 해양의 부영양화를 불러와 바닷속의 산소가 많이 부족해 졌습니다. 

이로 인해 생태계의 정점 포식자이자 담수와 해수를 오가며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었던 둔클레오스테우스도 멸종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메갈로돈의 SPEC

메갈로돈은 2300만년 전~360만년 전 생존한 초 대형 상어로, 오토두스속에 속합니다.

인간과 메갈로돈의 크기 비교

'역사상 최대 크기의 육식상어' 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메갈로돈의 길이는 최대 약 20m 이며 몸무게는 최대 103 ton 정도로 추정됩니다.  

 메갈로돈의 입은 150cm 정도로 사람을 통째로 삼킬 수 있으며 입 안에는 사람 5명이 들어갈 수 있다고 합니다. 

이빨하나 크기만 해도 18cm 정도가 되며 치악력은 최대 180,000N 으로 이는 1톤 트럭 18대가 짓누르는 수준입니다. 

 

이 강력한 치악력과 거대한 크기로 중대형 고래들은 한입에 사냥가능하며 이들의 화석이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등 전세계에 걸쳐서 발견된 점을 보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신생대 최강 포식자 였습니다. 

 

최강 포식자의 멸종 원인

그럼 도대체 이렇게 강력한 생물이 어떻게 멸종이 된 것일까요? 

여기에는 많은 가설이 있습니다.

 

1.첫번째 가설 : 빙하기 

메갈로돈은 지구의 빙하기가 시작된 시점인 260만 년 전쯤에 자취를 감췄습니다.

당시 지구는 표면의 30%가 빙하로 덮여버렸고 바다의 수온도 내려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일부 고생물학자는 이런 지질학적 사실들을 앞세워 메갈로돈이 낮아진 수온을 견디지 못하고 서식지가 축소되면서 멸종했을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실제로 당시 수온이 차가웠던 해역에서 메갈로돈의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메갈로돈의 주 먹잇감이었던 고래들이 두터운 지방층을 앞세워 온도가 낮은 극지로 이동했습니다.

그 결과 메갈로돈은 먹이 부족으로 멸종했다는 주장은 상당이 일리가 있는 주장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 가설을 반박하는 주장도 있습니다. 

수온이 차가웠던 지역에서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발견되는 경우도 있었고 메갈로돈의 거대한 덩치 덕분에 체표면적이 작아 저절로 체온이 유지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오늘날 백상어가 속한 "악상어" 계통들은 온열 동물이라 수온이 낮은 지역에서도 잘 살아갑니다.

 

2. 두번째 가설 : 먹이 부족

메갈로돈의 천적은 없었지만 그 큰 몸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 평균 1,000kg이 넘는 고기를 먹어야 했습니다. 

게다가 마이오세 중반에는 메갈로돈과 비슷한 크기의 거대 향유고래 리비아탄이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등장합니다. 

리비아탄

 지금의 향유고래들은 주로 중소형 물고기나 문어 오징어들을 먹었지만 리비아탄은 강력한 이빨로 메갈로돈의 주요 식량인 중대형 고래들을 물어 뜯어서 사냥했습니다. 

 또한 이 비슷한 시기에 이유를 알 수 없는 중대형 고래의 개체 수 감소가 발생합니다. 당시 60종이 넘는 고래가 무려 절반 가까이 줄어버리고 고래 뿐만 아니라 해양 포유류의 55% 바다 조류의 35% 상어의 9% 바다 거북의 43%가 사라지는 등 당시 대형 해양 동물 종의 36%가 멸종했다고 합니다. 즉 바다 전반에 절대적인 생물량이 부족해진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악조건들 때문에 메갈로돈은 점차 멸종의 길을 걷게 됩니다.

 

생태계의 변화 

 메갈로돈이 사라지고 바다의 패권이 백상아리와 범고래 류에게 넘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이들은 모든 생물을 먹을 수는 없었습니다.  당시 8에서 9미터나 되는 중대형 고래들을 잡아먹기엔 체구가 너무 작았기 때문입니다.  덕분에 당시 10m쯤 됐던 고래들은 자신을 위협하는 포식자가 없어 몸집이 커지는 방향으로 진화하게 됩니다.

 일부 고생물학자들은 현재 백상아리가 플라이오세의 조상들보다 1m 정도 더 크다는 점과 천적이 없다는 점으로 보아 수백만 년 후에는 지금의 백상아리들이 거대한 고래들을 잡아먹기 위해 과거의 메갈로돈처럼 거대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