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도새의 어원과 특징

도도(Dodo)라는 명칭의 정확한 어원은 남아있지 않지만 '병아리'를 뜻하는 네덜란드어 'dodaars' 에서 왔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이외에도 포르투갈어인 '바보'라는 뜻의 'doudo' 로 날지도 못하면서 사람을 전혀 경계하지 않았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일부사람들은 이야기합니다.

 도도새는 정확히 어떻게 생겼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오래전부터 묘사된 도도새의 모습은 상당히 귀여우면서도 우스꽝스럽습니다. 동글동글하면서 부피가 큰 몸은 청회색 깃털로 덮여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몸에 비해 어처구니 없게 작은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도도는 당연히 날 수가 없었습니다. 도도의 날개가 퇴화된 것은 도도가 살던 땅에 위협할 만한 천적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도도는 포식자가 살지 않는 서식지의 특성에 맞게 새들에게 가장 중요한 생존 수단인 날개를 포기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디어에서 묘사되는 도도새
 이름도 깜찍하고 미디어에서 보기에 상당히 작고 아담한 사이즈의 새로 생각할 수 있지만 도도는 닭보다 10배정도나 큰 동물입니다. 

 

도도새가 멸종한 이유

1. 인간을 좋아한 도도새 

 어느날 유럽의 선원들이 목적지로 가기 전 모리셔스 섬을 경유지로 삼아 정박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천적도 없이 살아온 도도들은 처음 본 사람들이 신기해서 선원들을 아무런 경계심 없이 쫄래쫄래 따라다녔습니다. 이러한 도도의 호기심은 인간들에게는 아주 좋은 사냥감이 되기에 충분했습니다. 이 새를 먹은 네덜란드인들은 맛이 너무 없어 도도새를 역겨운(nasty) 새라고 불렀습니다.

 

그렇다면 맛도 없는 이 새를 사람들은 왜 사냥했을까요?

환경보호, 동물과 인간이 공존할 필요성 등을 배운 현대인이라면 도도 같은 새가 따라와도 그 때문에 해를 입지 않는 한 대부분은 귀엽든 싫든 내버려두거나 쫓아내는 정도로 그치겠지만, 그런 개념이 없던 17세기 뱃사람들은 단순히 재미로 도도새의 머리를 몽둥이로 내려쳤습니다. 

그렇게 많은 도도들이 이유도 없이 죽어갔습니다.

 

2. 도도새의 알을 먹는 동물들의 유입

도도새가 사람들에게 많이 맞아 죽었지만 이것만으로는 도도가 멸종까지는 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외에 결정적인 멸종이유는 바로 인간과 함께 들어온 동물들 때문입니다. 네덜란드인이 이 섬에 들어올 때 쥐, 돼지, 원숭이, 개, 고양이 등과 같은 포유류 종과 같이 들어왔는데 이 동물들이 도도새의 멸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날지 못하는 도도새는 알을 땅에다가 낳는데 이마저도 한번에 한 개만 낳는 귀중한 알이었습니다. 인간이 들여온 포유류들이 곳곳에 흩어져 있는 소중한 도도새의 알을 한번에 먹어치워 도도새는 순식간에 멸종의 길에 들어서고 맙니다. 

 

이 시기는 인간이 섬에 도착한 지 불과 몇십 년이 되지 않는 1681년에서 1693년 사이에 멸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도도새가 멸종한 후 

이 섬에는 칼바리아 혹은 탐발라코크라고 하는 나무가 있는데 도도나무라고도 불립니다. 

왜냐하면 이 나무가 발아하기 위한 조건 중 도도가 이 나무 열매를 먹고 위장을 통과해야하는 특이한 조건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당연하게도 도도새가 멸종한 후 칼바리아도 씨앗을 퍼뜨릴 방법을 잃어버리고 맙니다. 

 결국 이 나무는 점차 개체수가 줄어들어 13그루 밖에 남지 않게 됩니다. 

칼바리아 나무
하지만 곧 이 사실이 알려지고 도도와 비슷한 칠면조에게 이 열매를 먹인 결과 싹을 틔우는 데 성공하여 멸종의 위기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메갈로돈의 SPEC

메갈로돈은 2300만년 전~360만년 전 생존한 초 대형 상어로, 오토두스속에 속합니다.

인간과 메갈로돈의 크기 비교

'역사상 최대 크기의 육식상어' 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메갈로돈의 길이는 최대 약 20m 이며 몸무게는 최대 103 ton 정도로 추정됩니다.  

 메갈로돈의 입은 150cm 정도로 사람을 통째로 삼킬 수 있으며 입 안에는 사람 5명이 들어갈 수 있다고 합니다. 

이빨하나 크기만 해도 18cm 정도가 되며 치악력은 최대 180,000N 으로 이는 1톤 트럭 18대가 짓누르는 수준입니다. 

 

이 강력한 치악력과 거대한 크기로 중대형 고래들은 한입에 사냥가능하며 이들의 화석이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등 전세계에 걸쳐서 발견된 점을 보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신생대 최강 포식자 였습니다. 

 

최강 포식자의 멸종 원인

그럼 도대체 이렇게 강력한 생물이 어떻게 멸종이 된 것일까요? 

여기에는 많은 가설이 있습니다.

 

1.첫번째 가설 : 빙하기 

메갈로돈은 지구의 빙하기가 시작된 시점인 260만 년 전쯤에 자취를 감췄습니다.

당시 지구는 표면의 30%가 빙하로 덮여버렸고 바다의 수온도 내려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일부 고생물학자는 이런 지질학적 사실들을 앞세워 메갈로돈이 낮아진 수온을 견디지 못하고 서식지가 축소되면서 멸종했을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실제로 당시 수온이 차가웠던 해역에서 메갈로돈의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메갈로돈의 주 먹잇감이었던 고래들이 두터운 지방층을 앞세워 온도가 낮은 극지로 이동했습니다.

그 결과 메갈로돈은 먹이 부족으로 멸종했다는 주장은 상당이 일리가 있는 주장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 가설을 반박하는 주장도 있습니다. 

수온이 차가웠던 지역에서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발견되는 경우도 있었고 메갈로돈의 거대한 덩치 덕분에 체표면적이 작아 저절로 체온이 유지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오늘날 백상어가 속한 "악상어" 계통들은 온열 동물이라 수온이 낮은 지역에서도 잘 살아갑니다.

 

2. 두번째 가설 : 먹이 부족

메갈로돈의 천적은 없었지만 그 큰 몸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 평균 1,000kg이 넘는 고기를 먹어야 했습니다. 

게다가 마이오세 중반에는 메갈로돈과 비슷한 크기의 거대 향유고래 리비아탄이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등장합니다. 

리비아탄

 지금의 향유고래들은 주로 중소형 물고기나 문어 오징어들을 먹었지만 리비아탄은 강력한 이빨로 메갈로돈의 주요 식량인 중대형 고래들을 물어 뜯어서 사냥했습니다. 

 또한 이 비슷한 시기에 이유를 알 수 없는 중대형 고래의 개체 수 감소가 발생합니다. 당시 60종이 넘는 고래가 무려 절반 가까이 줄어버리고 고래 뿐만 아니라 해양 포유류의 55% 바다 조류의 35% 상어의 9% 바다 거북의 43%가 사라지는 등 당시 대형 해양 동물 종의 36%가 멸종했다고 합니다. 즉 바다 전반에 절대적인 생물량이 부족해진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악조건들 때문에 메갈로돈은 점차 멸종의 길을 걷게 됩니다.

 

생태계의 변화 

 메갈로돈이 사라지고 바다의 패권이 백상아리와 범고래 류에게 넘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이들은 모든 생물을 먹을 수는 없었습니다.  당시 8에서 9미터나 되는 중대형 고래들을 잡아먹기엔 체구가 너무 작았기 때문입니다.  덕분에 당시 10m쯤 됐던 고래들은 자신을 위협하는 포식자가 없어 몸집이 커지는 방향으로 진화하게 됩니다.

 일부 고생물학자들은 현재 백상아리가 플라이오세의 조상들보다 1m 정도 더 크다는 점과 천적이 없다는 점으로 보아 수백만 년 후에는 지금의 백상아리들이 거대한 고래들을 잡아먹기 위해 과거의 메갈로돈처럼 거대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