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지프스의 첫번째 농락 - 강의 신 아소포스 

고대 그리스의 도시 코린토스의 왕이었던 시지프스는 엄청 영리하고 꾀가 많은 인물이었습니다.

어느 날 시지프스는 신들의 왕 제우스가 독수리로 변신해 한 여자를 납치하는 장면을 목격합니다. 납치당한 여자는 강의 신 아소포스의 딸 아이기나 였습니다.

제우스에게 잡혀가는 아이기나 - Ferdinand Bol 작품

평소 코린토스에는 물이 부족했는데 그는 사라진 딸을 찾고 있던 아소포스에게 가서 딸을 납치한 자를 알려주는 대가로 물을 요구했습니다.

 아소포스는 코린토스 중심지에 맑고 깨끗한 샘을 만들어줬고 만족한 시지프스는 커다란 독수리가 당신의 딸을 납치해 오이노네 섬으로 날아갔다고 말해주었습니다.

하지만 독수리가 제우스인 사실을 모른채 아소포스는 오이노네의 섬에 도착했습니다. 섬에 간 아소포스는 소득없이 제우스에게 번개만 맞고 돌아오게 됩니다. 

 

두번째 농락 - 죽음의 신 타나토스 

이 후 제우스는 시지프스가 고자질한 사실을 알게되고 화가나 죽음의 신 타나토스를 보내 시지프스의 목숨을 가져오라고 명합니다.  하지만 똑똑한 시지프스는 죽음의 신이 올 것을 미리 알고 있었고 자신의 방 뒷편에 매복을 해 있다가 타나토스를 덮쳐 움직이지 못하게 포박했습니다. 

 죽음의 신이 포박당해 사람들의 목숨을 거둘 수 없게 되자 사람들이 죽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가장 큰 피해를 본 것은 다름이 아닌 저승의 왕 하데스였습니다. 하데스는 이 상황이 제우스 탓이라며 제우스에게 항의를 했고 제우스는 분노에 가득 차 전쟁의 신 아레스에게 타나토스를 구하고 시지프스를 잡아 올 것을 명합니다.  제 아무리 시지프스라도 전쟁의 신한데는 대항을 할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다만 그는 붙잡히기 전에 아내에게 자신이 죽더라도 절대 장례를 치르지 말라고 당부를 했습니다.

 

세번째 농락 - 명계의 신 하데스

그렇게 아레스는 타나토스를 구하고 시지프스는 저승의 하데스의 앞으로 끌려가게 됩니다. 그러자 시지프스는 하데스의 앞에서 서럽게 울기 시작했습니다. 하데스는 그 연유를 묻자 시지프스가 대답했습니다. "아내가 자신을 무시해 장례까지 치르지 않고 있어 억울합니다" 라고 하소연 했습니다. 그 이야기를 들은 하데스는 남편의 장례를 치뤄주지 않는 아내를 괘씸하게 여겨 잠시 지상으로 올라가게 해줍니다. 단, 아내의 잘못을 꾸짓은 뒤 바로 내려오라고 명령하면서 말이죠.이렇게 올라간 시지프스는 하데스를 비웃으며 명을 다할때까지 행복하게 살아갑니다. 

 

 신들을 농락한 대가 

그렇게 천수를 누리다 자연사한 시지프스는 다시 하데스를 만나게 됩니다. 당연히 분노가 머리 끝까지 찬 하데스는 형벌을 내립니다. 그것이 그 유명한 바위를 산 꼭대기까지 밀어올리는 벌입니다. 간단해 보이는 벌이지만 형벌을 받는 아크로코린토스라는 산은 끝이 뾰족해 바위를 꼭대기까지 올리는 즉시 다시 바닥으로 굴러떨어지게 되었습니다.

바위를 굴리는 시지프스

 결국 신을 농락한 대가로 시지프스는 바위를 정상에 올리면 다시 아래로 굴러떨어지고 올리면 다시 떨어지는 영원한 노동형에 처해지게 된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장인을 불태워 죽인 익시온 

익시온은 전쟁의 신 아레스의 손자이며 라피타이족의 왕이었습니다. 

그는 마그네시아의 공주 디아와 결혼한 뒤 그의 장인을 불속에 던져 죽이는 패륜짓을 저지릅니다. 이유도 혼인 지참금을 주기가 아깝다는 어처구니 없는 이유 때문이였죠.  이 일은 금방 소문이 퍼지게 되어 그리스인 전체가 그를 기피하게 됩니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이 일은 올림포스의 신들에게 까지 소식이 전달되었는데 이 패륜짓을 용서할 수 없다며 많은 신들이 그를 벌해야한다며 신들의 왕인 제우스에게 고했습니다. 

 하지만 평소 익시온을 아끼던 제우스는 신들을 진정시키며 익시온에게는 이번 한번만 용서할테니 다시는 이런짓을 하지말라는 경고 정도만 주고 일이 마무리가 됩니다. 

 

제우스의 아내 헤라에게 욕정을 품은 익시온

 이 일이 있고 나서 익시온은 장인에게 주기로 한 혼인 지참금의 절반을 제우스에게 바치는 제사를 지냈습니다. 이에 제우스는 매우 흡족해하며 익시온을 신들의 연회장에 초대하게 됩니다. 그런데 익시온은 여기서 처음 본 제우스의 아내 헤라 여신의 아름다움에 반해 흑심을 품게 됩니다.  연회장에서 다시 지상으로 돌아온 익시온은 헤라가 자신을 좋아한다고 떠벌리고 다니는 엄청난 실수를 저지르고 맙니다. 자신이 한 번 용서해줬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또 이런 실수를 저지른 익시온이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았던 제우스는 그를 시험하기 위해 구름으로 만든 가짜 헤라를 익시온에게 보냅니다. 

 

교만한 익시온은 자신을 찾아온 신들의 여왕의 자태에 눈이 뒤집혔고 가짜 헤라를 강제로 침실로 끌고 갔습니다.

이 추악한 행동을 생생히 목격한 제우스는 크게 분노했고 익시온을 타르타로스 지옥에 넣은 뒤 끝없이 돌아가는 불타는 수레바퀴에 묶어버립니다. 

지옥에 떨어진 익시온

익시온의 자식들 - 부전자전 

타우로스의 탄생

한편 익시온이 겁탈한 가짜 구름 헤라는 임신을 하고 출산을 하게 됩니다. 그녀는 한번에 많은 자식들을 출산했는데 자식들이 모두 사람의 상반신에 말의 하반신을 가지고 태어나게 됩니다. 이들은 무럭무럭 자라 서로 번식을 해 종족을 형성했고 반인반마의 이 종족은 켄타우로스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성욕이 강한 켄타우로스

익시온의 핏줄이라서 그런지 켄타우로스들 역시 성욕이 지나치게 강해 여인들을 넘보다가 영웅들에게 죽임을 당하는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익시온의 인간 아들인 페이리토스

 익시온은 인간 왕비인 디아와의 사이에서 낳은 페이리토스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익시온이 타르타로스 지옥에 떨어지자 그가 테살리아의 새로운 왕이 됩니다. 같은 익시온인 핏줄인 만큼 켄타우로스들은 페이리토스 왕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페이리토스가 히포다메이아라는 여인과 결혼식을 올리게 되었는데 왕은 이 결혼식에 켄타우로스들을 초대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결혼식 잔치에 참석한 켄타우로스들은 음주를 과하게 해서 크게 취하게 되었고 점점 행동이 거칠어지고 분별이 없어졌습니다. 만취한 켄타우로스들은 결국 성육이 폭발하여 잔치에 참석한 처녀들과 방금 혼인한 페이리토스의 신부까지 겁탈하려 시도했습니다. 크게 분노한 페이리토스는 친구로 참석한 인간 영웅들인 테세우스, 네스토르 등과 합세해 켄타우로스들과 전투를 벌였습니다.

켄타우로마키아

이 전투는 훗날 켄타우로마키아라고 불렸습니다. 

결국 이 싸움에서 많은 켄타우로스들이 죽임을 당했고 간신히 살아남은 이들은 헬로폰네소스로 추방당하는 신세가 됩니다. 

 

지하 여신을 납치하려는 페이리토스 

안타깝게도 페이리토스는 켄타우로스와의 전투 중 그의 아내를 잃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아내를 찾아야 했는데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인지 페이리토스는 지하 세계의 왕비인 페르세포네를 자신의 신부로 만들려고 했습니다.  

그 계획은 상상을 초월했었는데 바로 지하 세계로 들어가 페르세포네를 납치하려는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저승의 왕 하데스는 이 사실을 미리 알고 있었고 지하에 도착한 페이리토스를 망각의 의자에 앉혀 식물인간 신세로 전락하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