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누이를 탐한 신들의 왕 제우스 

농업의 여신 데메테르 제우스의 누이로 황금빛의 머리를 가진 아름다운 여신이었습니다.

미녀라면 친족이고 뭐고 가리지 않는 신들의 왕 제우스는 데메테르에게 끈질기게 구애했고 결국 둘 사이에서 페르세포네라는 딸이 하나 생기게 됩니다. 페르세포네는 엄마를 닮아 성장할수록 점점 아름다워졌고 어린 딸에 대한 남신들의 욕망을 걱정한 데메테르는 그녀를 시칠리아 섬에 숨겨서 애지중지 키웠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섬의 한 꽃밭에서 놀고 있던 페르세포네를 잠시 지상에 올라온 하데스가 발견하게 됩니다.

그녀를 보자마자 첫눈에 반해버린 하데스는 제우스에게 페르세포네를 자신의 아내로 달라고 부탁합니다.

동생에게 조카와 결혼하고 싶다고 말하는 정신 나간 상황이었지만 더욱 정신이 나간 상황을 겪은 제우스는 하데스의 부탁을 승낙합니다. 자신의 힘이 닿지 않는 지하세계 제왕과의 관계를 고려한 결정이었습니다.

 

연애 초보 하데스의 정신나간 구애

제우스의 승낙을 받은 하데스는 이제 페르세포네의 마음을 어떻게 얻을까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매일 죽은 이들이나 관리하던 하데스는 여자의 마음에 관해서는 무지했기에 여자 경험이 많은 동생인 제우스에게 조언을 구합니다. 

미친 제우스의 조언을 듣고는 하데스는 페르세포네를 지하세계로 납치하게 됩니다. 

페르세포네의 납치(루카 지오다노)

그러나 거칠게 끌고 온 페르세포네는 매일 울며 하데스를 원망할 뿐이었습니다. 뭔가 잘못된 걸 깨달은 하데스는 뒤늦게 그녀를 달래며 지금은 아니지만 훗날 꼭 지상으로 돌려보내주겠다고 약속합니다. 어느 정도 진정이 된 소녀에게 하데스는 지하 세계의 음식인 석류를 권했고 페르세포네는 입맛은 없었지만 하데스가 기분이 상해 약속을 취소할까 봐 두려워 석류 4알을 억지로 삼킵니다.

 

슬퍼하는 데메테르와 그것을 이용한 바다의 신 포세이돈

한편 납치되면서 페르세포네가 지른 비명을 들른 데메테르는 딸의 신변에 이상이 생겼음을 깨달았습니다. 꽃밭으로 달려간 그녀는 딸과 함께 있던 님프들에게 페르세포네의 행방을 물었지만 하데스를 두려워한 님프들은 아는 바가 없다며 발뺌했습니다. 데메테르는 슬피 울며 사방팔방 딸을 찾아다녔지만 말 그대로 땅으로 꺼져버린 페르세포네의 흔적조차 찾을 수 없었습니다.

렇게 딸을 찾아 먼 바닷가까지 갔다가 좌절에 주저앉아 있는 데메테르에게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다가왔습니다.

포세이돈은 평소 데메테르를 사랑하고 있었고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구애를 했습니다. 데메테르는 포세이돈은 속마음을 눈치챘고 이에 화가나 말로 변신하여 도망쳤습니다. 하지만 금세 포세이돈에게 따라잡혀 결국 겁탈까지 당하게 됩니다. 

이로써 데메테르는 딸까지 잃었는데 겁탈까지 당해 더욱더 절망하게 됩니다. 

 

사실을 알게 된 데메테르의 분노와 재앙

이런 그녀를 안타깝게 여긴 태양신 아폴론이 그녀의 딸이 지하세계로 갔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또한 이 짓을 제우스가 조언하고 묵인했다는 사실까지 이야기해줘서 데메테르는 엄청난 배신감에 격분했습니다.

농업의 신인 그녀의 분노는 그리스의 모든 농작물을 시들게했고 땅 전체를 황폐하게 만들었습니다.  하늘에서 모든 걸 지켜본 그는 데메테르에게 사건의 전말을 알려줍니다. 하데스가 페르세포네를 납치했고 제우스에 묵인이 있었다는 사실까지 소상히 전해들은 데메테르는 배신감에 차 격분했죠.

농업의 여신의 이 사무친 분노는 그리스의 모든 농작물을 시들게 하고 땅 전체를 황폐하게 만들었습니다.

데메테르의 분노로 인간 세상의 대기근이 닥치자 올림포스 신들에게 바치는 재물도 끊겼고 놀란 제우스는 신들에게 얼른 데메테르를 달래보라 명령합니다. 신들은 차례대로 선물을 들고 데메테르를 찾아갔지만 딸을 잃은 어머니에게 이런 선물은 그녀의 분노만 증폭시켰습니다. 데메테르는 페르세포네를 돌려주지 않으면 그리스 전역에 풀 한포기 나지 않게 하겠다며 으름장을 놓았습니다. 결국 제우스는 전령신 헤르메스를 불러 저승의 하데스에게 페르세포네를 돌려달라는 제우스의 요청을 전했습니다.

 그러나 하데스는 웃으며 그녀가 이미 지하세계의 음식을 먹었다고 말했습니다. 지하세계의 음식을 먹으면 저승의 사람이 되는 것이 명계의 규칙이었고 하데스는 이를 이용해 페르세포네에게 석류를 먹인 것 이었습니다. 결국 데메테르는 딸을 다시 볼 수 있었지만 석류를 먹은 페르세포네는 명기의 규칙에 따라 1년 중 4달은 하데스의 부인으로 저승에 머물러야 했습니다.

그래서 페르세포네가 지하세계에 있는 네 달의 겨울에는 데메테르가 슬픔에 빠져 농작물이 자라지 않고 딸이 지상으로 돌아오는 시기에는 기쁨과 축복으로 가득 찬 봄이 된다고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